error, exception : 프로그램 실행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오류 # prnit(1) # NameError : 없는 이름의 변수, 함수를 사용하려고 할 때 # n = int('abc') # ValueError: invalid literal for int() with base 10: 'abc' : 데이터형 오류. 문자를 인트형으로 변환할 수 없음# n = int('123.') # ValueError: invalid literal for int() with base 10: '123.' # int(): 문자열 -> 정수# float: 문자열 -> 실수 numbers = [1, 2, 3] print(numbers[3]) >>IndexError: list index out of range 인덱스 번호가 ..
전체 글
Every Morning, Enjoy Coding!람다 표현식(lambda expression)함수의 이름 없이, 함수의 매개변수 선언과 리턴 값으로만 표현하는 방법!!Lambda [ p1, p2, ... ] : 식(expression) multiplication = lambda x, y: x*y result = multiplication(11, 12) print(result) 실행 결과132 division = lambda x, y: x/y result = division(121, 11) print(result) 실행 결과11.0 # 람다 표현식은 함수의 매개변수에 함수를 전달할 때 많이 사용함 def calc(x, y, op): return op(x, y) result calc(1, 2, lambda x, y: x + y) 실행 결과3 # 람다 표현..
파이썬에서 함수는 1급 객체(first-class object)- 함수를 변수에 저장할 수 있음- 매개변수(parameter)에 함수를 전달할 수 있음- 함수가 다른 함수를 리턴할 수 있음- 함수 내부에서 다른 함수를 정의할 수 있음 1.. 함수를 변수에 저장 def twice(x): return 2*x result = twice(100) # 함수 호출 -> 함수의 리턴값 저장 print(result) 출력 결과200 double = twice # 함수를 변수에 저장 print(double) 출력 결과 print(result) # 함수 호출 출력 결과200 2.. 함수를 매개변수에 저장 def plus(x,y): return x+y def minus(x,y): return x-y def calculate..
# factorial # 0! = 1 # n! = 1 x 2 x 3 x ... x (n-1) x n = (n-1)! x n def factorial1(n: int) -> int: result = 1 for x in range(1,n+1): result *= x return result for x in range(6): print(f'{x}! = {factorial1(x)}') 실행 결과0! = 11! = 12! = 23! = 64! = 245! = 120 def factorial2(n: int) -> int: if n == 0: # 종료 조건 return 1 elif n > 0: return factorial2(n-1)*n for x in range(6): print(f'{x}! = {factorial2..